분류 전체보기 38

Arioso BWV156 Bach

마음이 어수선하고 뒤숭숭할 때, 차분하게 가라앉혀 주는 곡을 하나 소개합니다. 바흐의 아리오조(Arioso)는 바흐가 라이프찌히의 성토마스 교회에 근무하던 시절에 1729년 1월 23일의 예배를 위해 작곡한 칸타타 BWV156의 오보에 서주곡 Sinfonia를 편곡한 것입니다. 곡조가 차분하고 아름다워서 피아노, 첼로, 플룻, 오르간 등 많은 다른 악기들의 독주용으로 편곡되기도하고 오케스트라 연주를 위한 관현악곡으로도 편곡되어 많이 사랑받고 있습니다. 아리오조(Arioso)는 본래 아리아(Aria) 풍의 기악 독주곡을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칸타타 BWV156은 삶과 죽음의 갈림길에서 관조적으로 인생을 돌아보는 내용인데, 중년에 접어든 바흐의 인생관이 녹아있는 작품이라고 생각됩니다. 이 칸타타는 다음과 같..

Sileant zephyri from Filiae Maestae Jerusalem(RV 638)

비발디의 모텟은 여덟 개가 남아있습니다. 그 중에서  Filiae Maestae Jerusalem(슬퍼하는 예루살렘의 딸들아, 작품 번호 RV 638)는 모두 3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악장 서창 - Filiae maestae Jerusalem(슬퍼하는 예루살렘의 딸들아)2악장 아리아 - Sileant zephyri (바람아 멈추어라)3악장 서창 - Sed tenebris diffusis(해도 그 빛을 잃었구나) 이 모텟의 가사는 누가복음 23장에서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 달리시기 위해서 십자가를 지고 골고다 언덕을 향해 가시는 장면을 묘사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누가복음 23장 28절에는 십자가를 지고 골로다 언덕으로 가시는 그리스도를 보고 예루살렘의 여자들이 눈물을 흘리자 예수께서 돌아..

교회 음악 2022.10.19

J.S. Bach Violin Concerto BWV 1041 by Hilary Hahn

바흐의 바이올린 콘체르토 BWV1041과 BWV1042는 바흐가 쾨텐에서 궁정악장으로 일할 때 작곡된 작품입니다. 쾨텐에서 보낸 6년은 바흐의 인생에서 가장 행복했던 시기이기도 했고, 가장 큰 불행을 맛 본 시기이도 했습니다.  바흐 당시의 궁정악장들은 주로 두 가지 임무가 주어졌습니다. 하나는 궁정에서 사용되는 음악들을 작곡하고 악단을 연습시키고 공연하는 것이었습니다. 또 다른 하나는 영주가 관장하는 영지 내의 교회의 예배에 쓰이는 음악들을 작곡하고 교회 합창단과 기악부를 관장하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쾨텐의 영주 레오폴드 공은 엄숙한 예배에 음악이 많이 사용되는 것을 자제하는 경향이 있었던 칼뱅파의 개신교도였기 때문에 영지의 교회에서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예배용 음악을 연주하는 것을 원하지 않았습니다..

그대는 나의 모든 것/Dein ist mein ganzes Herz

“그대는 나의 모든 것(Dein ist mein ganzes Herz)”은 헝가리 태생의 작곡가 프란츠 레하르트의 오페레타 "Das Land des Lächelns(미소의 나라)"의 2막에 나오는 노래입니다. 오페레타와 오페라의 가장 큰 차이점은 오페라의 모든 대사가 노래로 이루어진 것에 반하여 오페레타에서는 일부 대사가 연극처럼 말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오페레타의 규모가 오페라에 비해서 대체로 작고 내용도 비교적 가벼운 경우가 많습니다. 오페레타 는 1923년에 "노란 자켓(Die gelbe Jacke)"이란 제목으로 비엔나에서 초연되었다가 나중에 1929년에 "미소의 나라"로 제목을 바꾸며 조금 개작되었습니다. "미소의 나라"란 무슨 일이 생기건 웃는 것이 미덕으로 여기는 풍습을 가진 ..

Miserere mei, Deus /Gregorio Allegri.

교회 음악을 이야기할 때, 그레고리오 알레그리(Gregorio Allegri )의 미제레레(Miserrere mei, Deus)를 빼놓을 수 없습니다. 우리말 제목은 ‘주여, 저를 불쌍히 여기소서’ 정도로 번역하면 될 것 같습니다. 알레그리는 1638년, 시편51편에 곡을 붙여서 이 곡을 완성하였습니다. 시편 51편은 다윗왕이 자신의 죄를 자복하고 하나님의 용서를 구하는 내용의 노래입니다.  다윗왕은 전쟁터에 나가 있는 자신의 부하 우리야의 아내인 밧세바에게 한 눈에 반해서 그녀와 남몰래 통정합니다. 그녀가 임신을 하자 자신의 불륜을 덮기 위해서 우리야를 전선에서 소환하여 아내와 동침하도록 하지만 그는 전선에서 고생하는동료들을 생각하며 이를 거부합니다. 결국 다윗왕은 그를 은밀히 죽이고 밧세바를 취합니다..

교회 음악 2022.10.11

Eine kleine Nachtmusik(K525)/모차르트

‘끊이지 않고 지구 상 어디에선가는 모차르트의 음악이 연주되고 있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모차르트는 지금도 가장 인기 있는 작곡가 중 한 사람입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너무 세평에 민감하여 귀만 즐겁게 하는 대중에 영합하는 곡들만 썼다는 둥, 뚜렷한 자기 작품 세계가 없다는 등의 비판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모차르트는 음악에는 타고난 천재성을 가졌지만 경박스럽고 천박한 인품을 가진 사람이어서 주변 사람들과 갈등을 자주 빚었고 질시하는 많은 적으로 둘러싸여 있었다는 평가도 있습니다. 또한 타고난 천재성을 바탕으로 어려움 없이 평생 꽃길만 걷다가 간 철없는 사람이란 오해를 받기도 합니다. 모차르트의 천재성에 대한 살리에리의 질투를 통해서 모차르트의 삶을 그리고 있는 영화 는 인간 모차르트에 대한 세간의 이러..

마태수난곡/BWV244-78 Wir setzen uns mit Tränen nieder

서양 고전음악사에서 가장 중요하고 뛰어난 작곡가를 한 명만 꼽으라면 전문가들은 대체로 바흐를 꼽습니다. 모차르트와 베토벤도 서양음악사에서 바흐의 지위를 넘보지 못할 정도로 월등하게 뛰어난 바흐의 지위는 19세기 낭만주의 시대에 들어와서 비로서 확립되었습니다. 그 직접적인 계기가 된 것은 멘델스존에 의한 바흐의 의 재발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이후로 유럽에서는 바흐 붐이 본격적으로 일었고 묻혀있던 바흐의 곡들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바흐 곡들이 잇달아 발굴되고 연주되기 시작되며 바흐에 대한 재평가가 시작되었습니다. 은 마태복음에 기록된 그리스도의 수난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곡입니다. 그리스도의 수난과 그 끝에 오는 부활은 성탄과 함께 기독교의 가장 중요한 사건이라 기독교에서는 이를 매년 각각 고난 주간..

교회 음악 2022.10.08

Adagio in G by Giazotto

드레스덴은 2차대전 전에는 독일에서 가장 아름다운 도시 중 하나였습니다. 독일 작센주의 주도(州都)인 이 도시의 구도심에는 수백 년 된 바로크 시대의 건물들이 빼곡히 들어서 있어서 엘베강가의 베네치아란 별명을 갖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1945년 2월 13일부터 15일까지 3일간 영국과 미국의 2천여대에 가까운 폭격기가 무려 3,900톤에 달하는 폭탄을 투하하여 도시 전체를 3일간에 걸쳐서 불바다로 만들었습니다. 며칠새 무려 25,000명의 민간인들이 폭격으로 인하여 사망하였습니다. 드레스덴에 작은 군수공장들이 산재해 있었다기는 해도 도시 하나를 잿더미로 변하게 한 것은 군사 시설의 파괴를 위한 것이 아닌 독일인들의 사기를 꺽어서 전쟁을 하루 빨리 종식시키기 위한 무차별적인 폭격이었습니다. 도시 전체가 불..

헝가리무곡 5번/브람스 편곡

브람스는 1850년 헝가리의 바이올리니스트와 연주회를 함께 하면서 헝가리의 집시풍의 연주에 관심이 생기게 되었습니다. 그후 그는 헝가리의 민요들을 채보하여 이를 편곡하여 모두 21곡의 피아노 연탄곡(한 피아노를 두 사람이 연주하는 곡) 헝가리 무곡을 출판하였습니다. 그 중에서 가장 유명한 것이 5번인데, 이는 헝가리 작곡가 벨러 켈레르(Béla Kéler)의 곡인데 브람스는 이를 세간에 떠도는 작자 미상의 민요라고 오해하고 이를 채보하고 편곡하여 발표한 것입니다. 브람스의 헝가리 무곡이 유명해지자 헝가리 작곡가들의 반발을 사고 급기야 브람스는 소송에 휘말리고 말았습니다. 하지만 그가 곡을 출판할 때 자신의 작곡이라고 명시하지 않고 자신이 편곡한 곡이라고 명시한 덕분에 소송에서 승소할 수 있었습니다. 이런..

If ye love me/Thomas Tallis

토마스 탈리스(1505 –1585)는 16세기 영국의 튜더 왕조 시기에 활동한 교회 음악가입니다. 영국 성공회를 창시한 헨리 8세 재위기에 태어나서 그의 자녀들인 에드워드 6세, 메리 1세, 엘리자베스 1세가 연이어 집권하는 동안 활동하였습니다. 이 시기는 정치적으로도 안정되지 못했고, 성공회와 카톨릭의 갈등으로 영국의 종교계가 복잡하던 시기였습니다. 탈리스의 작품은 많이 남아있지 않지만 좋은 작품들을 남겼습니다. 는 요한복음 14장 15-16절을 가사로 작곡한 합창곡입니다. 요한복음의 이 성구는 기독교의 가장 중요한 교리 중 하나를 기술하고 있습니다. 바로 예수님의 승천 후에 삼위일체 하나님의 한 분인 보혜사 성령을 보내주시겠다는 말씀입니다. 이 성령께서는 믿고 영접하는 신..

교회 음악 2022.09.29